이력서 작성 요령
자신을 회사에 선보이는 첫번째 관문
기업들은 신입사원 채용을 위해 서류전형에서 출신학교보다 전공 과목과 성적 및 자기소개를 훨씬 중요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산하 노동경제연구원이 종업원 50인 이상의 2백76개 기업을 대상으로 모집·채용·선발제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먼저 신입사원을 채용할때 가장 중시하는 방법으로는 면접(63.8%), 서류전형(15.6%), 영어시험(4.7%), 적성검사(2.1%), 신원조회(1.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조사업체 중 40.7%가 서류전형에서 가장 중시하는 항목은 입사지원자의 학교 시절 전공과목이라고 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20.4%가 학교성적을 들었으며 자기소개(20.0%),출신학교(11.3%), 학교추천 및 외국어 능력(각 3.6%), 자격증소지(0.4%)를 중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서류전형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져가고 있는 추세이며, 여기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Yy
1. 한글 이력서
이력서 작성은 상세하고 간단 명료한 것이 제일 중요한 요소이다. 자신의 모든 것을 최대한 알리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글씨는 깨끗하게 쓰고 사진은 꼭 소정양식의 규격을 맞추는 성실함이 필요하다.
국문이력서는 자필로 쓰는 것이 무방하지만 영문이력서는 타이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력서를 타이핑할 경우에도 서명은 반드시 자필로 해야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1) 한글 이력서 작성요령
① 상세하면서도 간단명료하게, 정자로
이력서를 읽는 사람이 짧은 시간 안에 작성자의 인적사항에 대하여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기재내용을 간추려 분명하게 써야하며, 오자나 탈자가 없도록 주의한다.
② 솔직하게
내용상 거짓이 없어야 한다. 이력서에는 허위 또는 과장된 내용을 기록해서는 안된다. 있는 사실 그대로를 진솔하게 기술하여야 하며, 면접시 질문의 토대가 되기도 하므로 자신이 기재한 내용을 카피하여 두거나 꼭 기억해 두어야 한다.
③ 자격증이나 입상경력 등도 적는다.
자격증이나 면허증, 대외 입상경력 등을 밝혀 이력서에 적으면 취업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이다. 자격증의 취득 연월일을 밝히고 발행처 올바로 작성한다. 혹시 별 내용이 없다면 개근상이라도 기재한다면 어떨지...... 성실성에 뜻하지 않은 점수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④ 사진은 최근의 것으로 규격에 맞는 것을 붙인다.
두발과 복장은 단정히 하고 되도록 최근 3개월 이내의 것이어야 하며 현재의 모습과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가능하다면 여러 사진관에서 사진을 찍어놓고 가장 마음에 드는 사진을 선택하자. 작은 투자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⑤ 연락처를 반드시 명기한다.
기업들이 합격여부의 통보를 비롯한 모든 연락사항을 전보나 전화를 통해 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력서상의 주소와 현재의 거주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면 반드시 직접 연락이 가능한 주소나 전화번호 등 긴급연락처를 밝혀 두어야 한다.
⑥ 이력서 자성을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할 경우 서명은 꼭 자필로 해야하며, 서명 옆에 도장 찍는 것과, 이력서 상단의 성명 옆에 도장찍는 것을 잊은 학생들이 자주 있는데 꼭 신경을 쓰도록 하자.
⑦ 호주와의 관계란은 호주(양친 또는 형제)쪽에서 본 관계를 적는다. 예를 들어 호주가 양친이면 "長女"이고, 오빠가 호주이면 "妹"가 된다.
⑧ 학력 및 경력사항
입학과 졸업날짜를 정확히 기재하나 고졸인 경우에 첫칸에 초등학교 졸업부터 써도 무방하다.
⑨ 특기사항
특기사항에는 자격증 획득이나 상 등의 특기사항을 기입하되, 이때 반드시 그 발령청을 기입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밖에는 학생회 임원, 교지, 영어회화써클, 봉사단체 활동 등 내보일 수 있는 좋은 경험이 있으면 적는다. 이력서에서 겸손의 미덕은 접어버리자.
⑩ 이상의 내용을 다 마친 후 "위와 상위(相違) 없음" "상기의 내용은 사실과 같음" 또는 "위와 같이 틀림 없음"이라고 쓰고 한글 아래에 년, 월, 일을 적은 다음 맨 위의 성명란과 같이 날짜 아래자필로 서명 후 도장찍는 것을 잊지 말자.
펌)
자신을 회사에 선보이는 첫번째 관문
기업들은 신입사원 채용을 위해 서류전형에서 출신학교보다 전공 과목과 성적 및 자기소개를 훨씬 중요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산하 노동경제연구원이 종업원 50인 이상의 2백76개 기업을 대상으로 모집·채용·선발제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먼저 신입사원을 채용할때 가장 중시하는 방법으로는 면접(63.8%), 서류전형(15.6%), 영어시험(4.7%), 적성검사(2.1%), 신원조회(1.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조사업체 중 40.7%가 서류전형에서 가장 중시하는 항목은 입사지원자의 학교 시절 전공과목이라고 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20.4%가 학교성적을 들었으며 자기소개(20.0%),출신학교(11.3%), 학교추천 및 외국어 능력(각 3.6%), 자격증소지(0.4%)를 중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서류전형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져가고 있는 추세이며, 여기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Yy
1. 한글 이력서
이력서 작성은 상세하고 간단 명료한 것이 제일 중요한 요소이다. 자신의 모든 것을 최대한 알리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글씨는 깨끗하게 쓰고 사진은 꼭 소정양식의 규격을 맞추는 성실함이 필요하다.
국문이력서는 자필로 쓰는 것이 무방하지만 영문이력서는 타이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력서를 타이핑할 경우에도 서명은 반드시 자필로 해야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1) 한글 이력서 작성요령
① 상세하면서도 간단명료하게, 정자로
이력서를 읽는 사람이 짧은 시간 안에 작성자의 인적사항에 대하여 정확히 알 수 있도록 기재내용을 간추려 분명하게 써야하며, 오자나 탈자가 없도록 주의한다.
② 솔직하게
내용상 거짓이 없어야 한다. 이력서에는 허위 또는 과장된 내용을 기록해서는 안된다. 있는 사실 그대로를 진솔하게 기술하여야 하며, 면접시 질문의 토대가 되기도 하므로 자신이 기재한 내용을 카피하여 두거나 꼭 기억해 두어야 한다.
③ 자격증이나 입상경력 등도 적는다.
자격증이나 면허증, 대외 입상경력 등을 밝혀 이력서에 적으면 취업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이다. 자격증의 취득 연월일을 밝히고 발행처 올바로 작성한다. 혹시 별 내용이 없다면 개근상이라도 기재한다면 어떨지...... 성실성에 뜻하지 않은 점수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④ 사진은 최근의 것으로 규격에 맞는 것을 붙인다.
두발과 복장은 단정히 하고 되도록 최근 3개월 이내의 것이어야 하며 현재의 모습과 큰 차이가 없어야 한다. 가능하다면 여러 사진관에서 사진을 찍어놓고 가장 마음에 드는 사진을 선택하자. 작은 투자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⑤ 연락처를 반드시 명기한다.
기업들이 합격여부의 통보를 비롯한 모든 연락사항을 전보나 전화를 통해 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력서상의 주소와 현재의 거주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면 반드시 직접 연락이 가능한 주소나 전화번호 등 긴급연락처를 밝혀 두어야 한다.
⑥ 이력서 자성을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할 경우 서명은 꼭 자필로 해야하며, 서명 옆에 도장 찍는 것과, 이력서 상단의 성명 옆에 도장찍는 것을 잊은 학생들이 자주 있는데 꼭 신경을 쓰도록 하자.
⑦ 호주와의 관계란은 호주(양친 또는 형제)쪽에서 본 관계를 적는다. 예를 들어 호주가 양친이면 "長女"이고, 오빠가 호주이면 "妹"가 된다.
⑧ 학력 및 경력사항
입학과 졸업날짜를 정확히 기재하나 고졸인 경우에 첫칸에 초등학교 졸업부터 써도 무방하다.
⑨ 특기사항
특기사항에는 자격증 획득이나 상 등의 특기사항을 기입하되, 이때 반드시 그 발령청을 기입해야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밖에는 학생회 임원, 교지, 영어회화써클, 봉사단체 활동 등 내보일 수 있는 좋은 경험이 있으면 적는다. 이력서에서 겸손의 미덕은 접어버리자.
⑩ 이상의 내용을 다 마친 후 "위와 상위(相違) 없음" "상기의 내용은 사실과 같음" 또는 "위와 같이 틀림 없음"이라고 쓰고 한글 아래에 년, 월, 일을 적은 다음 맨 위의 성명란과 같이 날짜 아래자필로 서명 후 도장찍는 것을 잊지 말자.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