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순절 유래
교회 역사에 나타난 사순절의 유래
사순절은 부활주일 전까지 주일을 뺀 40일의 기간으로, 영어로는 Lent라고 하는데 이 단어는 Anglo Saxon語의 봄을 나타내는 lencten or Lenchthen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여진다.
초기 기독교 시대인 3세기초까지는 기한을 정하지 않고 2-3일간을 지키다가, AD325년 니케아 종교회의에서 40일의 기간을 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40일의 기간을 정하는 방법은 조금씩 차이가 있었는데, 동방교회는 7주간을 지키면서 토요일과 주일을 제외하고 성주일 만 포함하여 36일을 지켰고, 서방교회는 6주간을 지키면서 주일을 제외한 36일을 지켰으며, 예루살렘 교회는 9주간을 지키면서 토요일과 주일을 제외한 40일을 지켰는데, 교황 그레고리우스 시대에 이르러 주일을 제외한 40일을 지키게 되었다. 한편, AD 325년 니케아 종교회의는 춘분이 지나고 만월이 된 후 첫 주일을 부활주일로 지키도록 결정하게 됨으로. 사순절은 항상 수요일에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올해는 4월 23일이 부활 주일이며, 3월8일에 사순절이 시작된다.
사순절은 본래 부활주일 전에 세례 받을 사람들을 준비시키기 위한 기간으로 사용하였는데, 이들은 6주간 동안의 집중적인 신앙 훈련과 기도, 회개를 통하여 세례 받을 준비를 하였다. 이때 주로 공부하는 내용은 복음서, 사도신경, 주기도문에 대한 것이었고, 교육과 훈련을 위해 성금요일과 토요일에는 완전금식을 하면서 사제 앞에서 질문에 답하고 세례를 받았다.
또한 사순절이 시작되는 날을 회개를 시작하는 날로 정하여, 회개의 상징이 되는 "재(ash)"를 머리에 쓰고, 자루 옷을 입고 다녔으며, 이러한 전통은 9세기까지 계속되었다. 중세에 이르러서는 사순절 기간동안 모든 사람들이 금식하도록 되어 있어서, 채소와 생선, 달걀로 하루에 저녁한 끼만을 식사하였고, 부활주일이 지날 때까지는 화려한 음악회도 허용 되지 않았고, 오페라도 금지되어 있었다. 이 기간에는 수난을 받으시는 예수님을 기념하여 슬픈 마음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기쁨을 노래하거나 화려한 음악으로 되어있는 '알렐루야'와 하나님의 영광을 장엄하게 노래하는 '대영광송(Gloria)'은 부르지 않았고, 오라토리오, 수난곡, 칸타타 등을 연주하는 것이 교회의 전통이었다. 이렇게 교회 역사 가운데 나타난 사순절을 지키는 방법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먼발치에서 구경군의 한 사람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믿는 사람 모두가 각기 자기 십자가를 지고 주께서 당하신 고난의 길에 함께 동참한다는 신학적 의미가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들을 살펴보면 그 형식은 조금씩 달라도 사순절을 위한 영적 훈련의 과정들은 그 범주가 대략적으로 정해지는 것을 보게된다.
교회학교넷의 생각-그러나 이러한 유래는 지극히 가톨릭적입니다. 우리 개신교는 부활절을 지키며 준비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예수그리스도께서 이러한 모든 짐을 감당하셨기 때문에 우리는 행사적의미를 너무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총신신대원-유재원교수의 의견입니다. 공개질의 후 답변임)
교회 역사에 나타난 사순절의 유래
사순절은 부활주일 전까지 주일을 뺀 40일의 기간으로, 영어로는 Lent라고 하는데 이 단어는 Anglo Saxon語의 봄을 나타내는 lencten or Lenchthen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여진다.
초기 기독교 시대인 3세기초까지는 기한을 정하지 않고 2-3일간을 지키다가, AD325년 니케아 종교회의에서 40일의 기간을 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40일의 기간을 정하는 방법은 조금씩 차이가 있었는데, 동방교회는 7주간을 지키면서 토요일과 주일을 제외하고 성주일 만 포함하여 36일을 지켰고, 서방교회는 6주간을 지키면서 주일을 제외한 36일을 지켰으며, 예루살렘 교회는 9주간을 지키면서 토요일과 주일을 제외한 40일을 지켰는데, 교황 그레고리우스 시대에 이르러 주일을 제외한 40일을 지키게 되었다. 한편, AD 325년 니케아 종교회의는 춘분이 지나고 만월이 된 후 첫 주일을 부활주일로 지키도록 결정하게 됨으로. 사순절은 항상 수요일에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올해는 4월 23일이 부활 주일이며, 3월8일에 사순절이 시작된다.
사순절은 본래 부활주일 전에 세례 받을 사람들을 준비시키기 위한 기간으로 사용하였는데, 이들은 6주간 동안의 집중적인 신앙 훈련과 기도, 회개를 통하여 세례 받을 준비를 하였다. 이때 주로 공부하는 내용은 복음서, 사도신경, 주기도문에 대한 것이었고, 교육과 훈련을 위해 성금요일과 토요일에는 완전금식을 하면서 사제 앞에서 질문에 답하고 세례를 받았다.
또한 사순절이 시작되는 날을 회개를 시작하는 날로 정하여, 회개의 상징이 되는 "재(ash)"를 머리에 쓰고, 자루 옷을 입고 다녔으며, 이러한 전통은 9세기까지 계속되었다. 중세에 이르러서는 사순절 기간동안 모든 사람들이 금식하도록 되어 있어서, 채소와 생선, 달걀로 하루에 저녁한 끼만을 식사하였고, 부활주일이 지날 때까지는 화려한 음악회도 허용 되지 않았고, 오페라도 금지되어 있었다. 이 기간에는 수난을 받으시는 예수님을 기념하여 슬픈 마음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기쁨을 노래하거나 화려한 음악으로 되어있는 '알렐루야'와 하나님의 영광을 장엄하게 노래하는 '대영광송(Gloria)'은 부르지 않았고, 오라토리오, 수난곡, 칸타타 등을 연주하는 것이 교회의 전통이었다. 이렇게 교회 역사 가운데 나타난 사순절을 지키는 방법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먼발치에서 구경군의 한 사람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믿는 사람 모두가 각기 자기 십자가를 지고 주께서 당하신 고난의 길에 함께 동참한다는 신학적 의미가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들을 살펴보면 그 형식은 조금씩 달라도 사순절을 위한 영적 훈련의 과정들은 그 범주가 대략적으로 정해지는 것을 보게된다.
교회학교넷의 생각-그러나 이러한 유래는 지극히 가톨릭적입니다. 우리 개신교는 부활절을 지키며 준비하면 됩니다. 왜냐하면 예수그리스도께서 이러한 모든 짐을 감당하셨기 때문에 우리는 행사적의미를 너무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총신신대원-유재원교수의 의견입니다. 공개질의 후 답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