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 자료

2003.10.11 19:21

추수감사절의 유래

조회 수 5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추수감사를 성경적으로 알아보기

- 성경적 기원, 유래


■ 글 | 김해수 목사(일산동안교회)

한국교회의 추수감사절은 1904년 장로교가 11월 10일을 감사주일로 지킨 것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다가 1914년, 각 교파의 회의를 거쳐 미국인 선교사가 처음으로 우리나라에 입국한 날인 11월 셋째 주 수요일을 기념하여 감사일로 정하고 예배를 드리다가 그 후 수요일을 주일로 바꾸어 현재 11월 셋째 주일을 추수감사절로 지키고 있다. 이처럼 한국의 추수감사절이 미국교회의 영향을 받은 것은 초기 선교사 중 미국선교사가 절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메이 풀라워(May flower)호를 타고 신대륙에 입국하여 첫 수확을 거두고 하나님께 감사의 예배를 드린 것으로 시작된 미국의 추수감사절(Thanksgiving Day)인 11월 넷째 목요일은 한국의 추수감사절에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나 그것이 추수감사절의 기원은 아니다.

그렇다면 추수감사절의 성경적 기원은 어디일까? 그 기원과 의미를 여기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주신 축복 중에는 좋은 것을 함께 나누고 싶은 마음과 좋은 일을 허락하신 분께 감사하는 마음이 있다. 아담의 아들인 가인과 아벨도 농사를 짓고 양을 치며 생활하는 중에 가인은 땅의 소산으로 아벨은 양의 첫 새끼와 기름으로 여호와께 제사를 드렸다(창 3:2∼3). 노아도 홍수에서 구원받은 후 방주에서 나와 처음으로 한 일이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쌓고 짐승과 새를 잡아 번제로 제사를 드린 것이다(창 8:20).

성격은 다르지만 이와 비슷한 모습은 우리나라 역사에서도 살펴 볼 수 있는데 고구려 시대에는 동맹이라 하여 10월에 전 부족이 모여 조상에게 제사하고 풍성한 수확을 주신 하늘님께 농제를 올렸고, 부여에서는 영고, 동예에서는 무천이라는 의식으로 추수감사제를 드렸다. 또 신라의 가베에서 유래된 추석은 우리 민족의 추수감사절 모습이라 할 수 있다. 하나님은 사람들 마음속에 감사하고자 하는 마음을 주신 것이다.


절기로서 추수감사의 유래는 이스라엘 민족이 지키던 세 절기에서 찾을 수 있다. 유월절, 오순절, 그리고 수장절이 그것이다(출 23:14∼16). 유월절은 이스라엘이 출애굽한 것을 기념하는 절기이며, 오순절은 맥추절, 칠칠절이라고도 불리는데 첫 수확을 기념하는 절기이다. 초막절이라고도 불리는 수장절이 수확에 대해 감사하는 추수감사절의 유래로 볼 수 있다.

“수장절을 지켜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말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출 23:16 개역개정번역)

이스라엘 민족은 이 절기를 기쁨으로 지켜왔으며 감사의 제사를 하나님께 드렸다. 사실 추수감사절이 우리나라에서는 절기적으로 늦은감이 있다. 그러므로 추수감사절의 시기는 10월 중에 교회 형편에 맞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는 추수감사절이 총회적으로 제정되던 때부터 추수감사절 감사헌금을 하고 있는데 초기에는 이 헌금이 총회로 보내져 전도비로 사용되기도 했다. 지금도 이 전통은 계속되고 있어 교회마다 추수감사 헌금이 교회예산에 반영되고 있다. 농사를 짓지 않는 도시교회에서도 추수감사헌금의 모습에는 변화가 없지만 감사절의 의미는 많이 퇴색되고 있는 것 같다.

감사하는 삶은 하나님의 뜻이요, 감사하는 마음은 하나님이 사람에게 주신 근본 마음이다.

도시에 있는 교회라 할지라도 추수감사절의 절기에 신앙생활에 유익하고 하나님의 은혜를 깊이 깨닫는 좋은 기회를 만들 수 있다.

필자의 교회는 수년동안 추수감사절을 지키면서 큰 기쁨과 감사를 맛보고 나누었다. 그것은 추수감사절을 준비하는데 여러 사람과 부서가 함께 계획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축제의 기본은 모두가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단순히 한 주일만의 행사가 아니라 추수감사주일을 준비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데 있다.

농경의 산물을 식량으로 삼아 살아가는 인간에게 있어서 씨앗을 심어 수확을 거두는 일은 사람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한 일임을 농부가 아니더라도 알 수 있다. 햇빛과 적당한 비와 인간의 수고가 함께하여 많은 수확을 거두게 되면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게 된다.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게 될 때 그 감사의 대상은 천지와 만물을 만드시고 섭리하시는 창조주 하나님이 되어야 한다. 추수감사절의 성경적 의미는 감사의 대상이 전능하신 창조주 하나님이 되는데에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 아이들 닫힌 마음 여는법-펌 최태식 2004.02.25 206
60 교회학교 교사가 되려는 분들께-필독(펌글) 최태식 2004.01.28 390
59 사이버중독이란(펌글) 최태식 2004.01.28 30
58 교회코디 file 최태식 2004.01.03 122
57 사진으로보는 여름성경학교 file 최태식 2003.12.18 115
56 교사세미나 계획서(수영로) file 최태식 2003.12.18 241
55 유년부 2002년 하반기 사역평가 보고서 file 최태식 2003.12.18 89
54 꽃동산 교회의 교육 우선 순위 최태식 2003.12.18 443
53 100% 등반전략-꽃동산교회 길윤구목사 최태식 2003.12.18 217
52 교사 수련회 (수영로교회) file 최태식 2003.12.18 157
51 성탄 유래와 성탄자료..순서등등 최태식 2003.12.01 186
50 아이들에게 유익한 성탄 이야기 모음 최태식 2003.12.01 76
» 추수감사절의 유래 winsoft 2003.10.11 524
48 영화 <예수>감상하기 최태식 2003.07.22 93
47 반 어린이 관리 최태식 2003.07.10 146
46 성도들이 좋아하는 목회자 최태식 2003.06.28 130
45 죠지 뮬러 최태식 2003.06.28 175
44 헬라어 성경 듣기 최태식 2003.05.29 548
43 ★상식- CCM이란 무엇인가? ★ 최태식 2003.04.29 382
42 성경이 말하는 열가지 대화법 최태식 2003.04.29 104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