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주일(The Children's Sunday)
성경에는 어린이의 고귀함과 그들에 대한 마땅한 대우에 대해 말하고 있다. 어린이들은 하나님의 축복이자 선물이며(시 127:3-5), 하나님의 피조물이자 영원한 생명체이며(롬 11:36), 구속의 대상이자 천국 시민의 그림자이며(막 10:13-16), 가정과 사회와 국가의 기초가 됨(마 7:24)을 말해준다.
그리고 어린이들은 신체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마땅히 보호받아야 할 약자인 동시에 진지함과 순수함을 갖춘 인격의 주체이기도 하며 그들에게는 내일의 역사가 달려 있으므로 바르게 교육해야 할 대상임에 분명하다. 이에 몇몇 선각자들은 세계 각 지역의 교회를 중심으로 어린이 주일을 정하였으며 1870년 미국의 한 조합 교회에서 어린이 주일을 맞이하여 예배당을 꽃으로 장식하고 '샤론의 꽃, 어린이'라는 제목으로 어린이 예배를 드린 데에서 유래하여 '꽃주일'이라고도 불린다.
1. 시기
어린이 주일은 어린이들의 가능성과 꿈을 존중하는 미국에서 가장 먼저 실시되었다. 즉 1856년 미국 메사추세츠주의 레오날드 목사가 6월 둘째 주일을 어린이 주일로 지킨 이래 1868년 미국 감리교회에서 이날을 기념일로 정했으며, 1883년에는 미국 전역에서 이날을 어린이 주일로 지키는 것으로 확산되었다. 오늘날에도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일반적으로 6월 둘째 주를 어린이 주일로 지키고 있다. 이처럼 6월 둘째 주가 어린이 주일로 결정된 것은, 일년 중 꽃이 만발한 가장 아름다운 이 시기가 푸르고 아름다운 어린이들의 이미지와 가장 잘 연결되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초창기에는 6월 둘째 주일을 어린이 주일로 지켜 오다가 1956년 5월 첫째 주일을 어린이 주일로 변경하였다. 이는 1946년부터 지켜오던 5월 5일 어린이날과 근접해 있을 뿐 아니라 어린이 주일의 근본 취지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2. 유래
어린이 주일은 성경에 나타나 있는 절기는 아니지만 근세에 들어오면서 어린이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교회의 절기로 보편화되었다. 자라나는 어린이가 어떻게 교육되느냐는 미래의 무한한 가능성과 직결되기에 몇몇 뜻있는 목회자들은 어린이들을 위한 교회의 특별한 봉사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미국 최초로 어린이 주일을 제정한 유니버셜리스트 제일교회의 레오날드(G.H Leonald)목사 역시 이러한 생각을 하고 있던 한 사람으로 1856년 어린이들을 그리스도인으로서 훈련시키고 어른들에게 어린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다는 취지에서 6월 둘째 주를 자신이 사역하는 교회의 어린이 주일로 정하고 그날 어린이 주일 행사를 거행했다.
레오날드 목사의 어린이 주일 시행이후 교회들은 이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고, 그 결과 1868년에는 미국 감리교에서 6월 둘째 주를 어린이 주일로 정식으로 승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정은 다른 교파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1883년 미국의 장로교를 비롯한 대부분의 다른 교파들도 '어린이 주일'안을 결의안으로 통과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어린이 주일은 교회 절기의 일부분으로서의 위치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 무렵의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도 어린이에 대한 인식이 성숙하지 못했음은 물론 어린이라는 호칭조차 없던 상태였다. 따라서 당시 우리에겐 어린이 주일의 제정보다도 자라나는 어린이들에 대한 바른 인식이 더 필요했다. 이러한 때에 방정환, 마해송 등의 어린이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했던 선각자들이 1922년 일본 동경에서 색동회를 조직하여 1923년 5월 1일을 어린이날로 정해 어린이 인격보호와 바른 성장에 대한 어른들의 관심과 각성을 촉구하는 등 활발한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면서 우리 나라 사람들도 어린이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어린이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한편 초창기 5월 1일이었던 어린이날이 1927년부터는 5월 첫째주일로, 그리고 1946년에 오늘날과 같은 5월 5일로 변경되었고, 1957년에는 어린이 헌장이 제정, 공포되었다. 그리고 우리 나라의 교회들도 초창기에는 미국에서 처음 제정된 6월 둘째 주일을 어린이 주일로 지켜오다가 1956년부터 5월 첫째 주를 어린이 주일로 변경하여 보다 활발하게 지켜오고 있다.
3. 주요 행사 프로그램
(1) 어린이 예배
어린이 예배는 다른 예배와는 달리 사회나 대표 기도, 헌금 기도 등을 교사가 아닌 어린이들이 맡아 하는 예배이다. 이러한 어린이 예배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자신들도 교회의 한 지체임을 느끼게 하며, 예배를 단순히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능동적이고 진지한 자세로 임할 수 있게 한다.
어린이 예배는 1780년 영국의 주일학교에서 처음 실시되었으나, 보다 일반적인 어린이 예배의 실시는 1870년 독일에서 제국 아동 예배 협회가 조직되고 미국 등지에서도 아동 연구가 보다 활발해지면서부터였다. 우리 나라의 교회들도 어린이 주일에 어린이 예배를 드리고 있다. 어린이 예배시 특히 주의할 것은 어린이 예배가 어린이의 재롱 잔치가 아닌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임을 인식하여 경건한 가운데 드려져야 한다는 것이다.
(2) 가정 예배
어린이 주일이나 어린이날의 가정 예배에는 모든 가족이 참여하되 특별히 기도와 찬양 등에 어린이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어린이에 관한 것들을 위주로 하며 가정 예배의 사회도 자녀가 맡도록 한다. 가정 예배는 모든 가족이 함께 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자녀가 이해할 수 없는 어려운 말은 되도록 삼가며, 사용할 경우에도 어린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설명해 준다. 어린이들이 가정 예배에 참여하는 것이 이 때 뿐 아니라 평소의 가정 예배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모들은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3) 어린이 시낭송 예배(꽃주일 시낭송)
어린이 예배의 순서로 시낭송이 있게 된다. 이때에는 부모가 어린이를 위해 지은 시, 어린이가 직접 지은 시, 혹은 어린이에 대한 명시(名詩) 등을 낭송한다. 이때 시 대신 어린이에 관련된 성구나 어린이 헌장 낭독을 할 수도 있다.
(4) 부모님 초청하기
평소 부모들은 자녀의 학교 생활에는 많은 관심을 갖지만 자녀의 교회 생활에는 비교적 관심이 적다. 그러므로 어린이 주일을 통해 교회 학교에 자녀를 둔 부모님을 초청하여 부모와 교사가 서로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져 교회 학교에 대한 부모님의 관심도를 높인다.
(5) 벽지(농, 어촌) 어린이 초청하기
어린이 주일에는 모든 곳의 어린이가 똑같은 어린이로서의 기쁨을 누릴 권리가 있다. 자칫 소외당하기 쉬운 농어촌 벽지의 어린이들을 초청해 도시의 어린이들과 함께 시간을 갖게 하는 것은 이런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때 초청된 어린이들의 숙식은 어린이가 있는 가정들이 분담하여 제공하면 경비도 절약되고, 자라난 환경이 다른 어린이들이 함께 어울리는 시간을 통해 서로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6) 풍선 날리기
이 행사는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북돋워주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한다.
방법은 먼저 어린이 수만큼의 도화지와 풍선을 준비한다. 도화지에는 자신의 꿈과 희망, 그리고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생활 등을 써넣게 하고, 풍선은 불어 실에 도화지를 매단다. 그리고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이 푸른 창공에 펼쳐질 수 있도록 어린이 놀이터나 빈터 등 안전하고 넓은 장소에서 풍선을 날린다. 한편 부모와 교사는 어린이가 도화지에 적어 넣은 사항들이 생활에서 실천될 수 있도록 늘 조언해 주며 평소 생활에도 관심을 갖도록 한다.
(출처: 인터넷-은영이 나라)
성경에는 어린이의 고귀함과 그들에 대한 마땅한 대우에 대해 말하고 있다. 어린이들은 하나님의 축복이자 선물이며(시 127:3-5), 하나님의 피조물이자 영원한 생명체이며(롬 11:36), 구속의 대상이자 천국 시민의 그림자이며(막 10:13-16), 가정과 사회와 국가의 기초가 됨(마 7:24)을 말해준다.
그리고 어린이들은 신체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마땅히 보호받아야 할 약자인 동시에 진지함과 순수함을 갖춘 인격의 주체이기도 하며 그들에게는 내일의 역사가 달려 있으므로 바르게 교육해야 할 대상임에 분명하다. 이에 몇몇 선각자들은 세계 각 지역의 교회를 중심으로 어린이 주일을 정하였으며 1870년 미국의 한 조합 교회에서 어린이 주일을 맞이하여 예배당을 꽃으로 장식하고 '샤론의 꽃, 어린이'라는 제목으로 어린이 예배를 드린 데에서 유래하여 '꽃주일'이라고도 불린다.
1. 시기
어린이 주일은 어린이들의 가능성과 꿈을 존중하는 미국에서 가장 먼저 실시되었다. 즉 1856년 미국 메사추세츠주의 레오날드 목사가 6월 둘째 주일을 어린이 주일로 지킨 이래 1868년 미국 감리교회에서 이날을 기념일로 정했으며, 1883년에는 미국 전역에서 이날을 어린이 주일로 지키는 것으로 확산되었다. 오늘날에도 미국을 비롯한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일반적으로 6월 둘째 주를 어린이 주일로 지키고 있다. 이처럼 6월 둘째 주가 어린이 주일로 결정된 것은, 일년 중 꽃이 만발한 가장 아름다운 이 시기가 푸르고 아름다운 어린이들의 이미지와 가장 잘 연결되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초창기에는 6월 둘째 주일을 어린이 주일로 지켜 오다가 1956년 5월 첫째 주일을 어린이 주일로 변경하였다. 이는 1946년부터 지켜오던 5월 5일 어린이날과 근접해 있을 뿐 아니라 어린이 주일의 근본 취지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2. 유래
어린이 주일은 성경에 나타나 있는 절기는 아니지만 근세에 들어오면서 어린이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교회의 절기로 보편화되었다. 자라나는 어린이가 어떻게 교육되느냐는 미래의 무한한 가능성과 직결되기에 몇몇 뜻있는 목회자들은 어린이들을 위한 교회의 특별한 봉사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미국 최초로 어린이 주일을 제정한 유니버셜리스트 제일교회의 레오날드(G.H Leonald)목사 역시 이러한 생각을 하고 있던 한 사람으로 1856년 어린이들을 그리스도인으로서 훈련시키고 어른들에게 어린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한다는 취지에서 6월 둘째 주를 자신이 사역하는 교회의 어린이 주일로 정하고 그날 어린이 주일 행사를 거행했다.
레오날드 목사의 어린이 주일 시행이후 교회들은 이에 대한 높은 관심을 나타냈고, 그 결과 1868년에는 미국 감리교에서 6월 둘째 주를 어린이 주일로 정식으로 승인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정은 다른 교파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1883년 미국의 장로교를 비롯한 대부분의 다른 교파들도 '어린이 주일'안을 결의안으로 통과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어린이 주일은 교회 절기의 일부분으로서의 위치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 무렵의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도 어린이에 대한 인식이 성숙하지 못했음은 물론 어린이라는 호칭조차 없던 상태였다. 따라서 당시 우리에겐 어린이 주일의 제정보다도 자라나는 어린이들에 대한 바른 인식이 더 필요했다. 이러한 때에 방정환, 마해송 등의 어린이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했던 선각자들이 1922년 일본 동경에서 색동회를 조직하여 1923년 5월 1일을 어린이날로 정해 어린이 인격보호와 바른 성장에 대한 어른들의 관심과 각성을 촉구하는 등 활발한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면서 우리 나라 사람들도 어린이의 중요성을 자각하고, 어린이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한편 초창기 5월 1일이었던 어린이날이 1927년부터는 5월 첫째주일로, 그리고 1946년에 오늘날과 같은 5월 5일로 변경되었고, 1957년에는 어린이 헌장이 제정, 공포되었다. 그리고 우리 나라의 교회들도 초창기에는 미국에서 처음 제정된 6월 둘째 주일을 어린이 주일로 지켜오다가 1956년부터 5월 첫째 주를 어린이 주일로 변경하여 보다 활발하게 지켜오고 있다.
3. 주요 행사 프로그램
(1) 어린이 예배
어린이 예배는 다른 예배와는 달리 사회나 대표 기도, 헌금 기도 등을 교사가 아닌 어린이들이 맡아 하는 예배이다. 이러한 어린이 예배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자신들도 교회의 한 지체임을 느끼게 하며, 예배를 단순히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능동적이고 진지한 자세로 임할 수 있게 한다.
어린이 예배는 1780년 영국의 주일학교에서 처음 실시되었으나, 보다 일반적인 어린이 예배의 실시는 1870년 독일에서 제국 아동 예배 협회가 조직되고 미국 등지에서도 아동 연구가 보다 활발해지면서부터였다. 우리 나라의 교회들도 어린이 주일에 어린이 예배를 드리고 있다. 어린이 예배시 특히 주의할 것은 어린이 예배가 어린이의 재롱 잔치가 아닌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임을 인식하여 경건한 가운데 드려져야 한다는 것이다.
(2) 가정 예배
어린이 주일이나 어린이날의 가정 예배에는 모든 가족이 참여하되 특별히 기도와 찬양 등에 어린이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어린이에 관한 것들을 위주로 하며 가정 예배의 사회도 자녀가 맡도록 한다. 가정 예배는 모든 가족이 함께 드리는 것이기 때문에 자녀가 이해할 수 없는 어려운 말은 되도록 삼가며, 사용할 경우에도 어린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히 설명해 준다. 어린이들이 가정 예배에 참여하는 것이 이 때 뿐 아니라 평소의 가정 예배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모들은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3) 어린이 시낭송 예배(꽃주일 시낭송)
어린이 예배의 순서로 시낭송이 있게 된다. 이때에는 부모가 어린이를 위해 지은 시, 어린이가 직접 지은 시, 혹은 어린이에 대한 명시(名詩) 등을 낭송한다. 이때 시 대신 어린이에 관련된 성구나 어린이 헌장 낭독을 할 수도 있다.
(4) 부모님 초청하기
평소 부모들은 자녀의 학교 생활에는 많은 관심을 갖지만 자녀의 교회 생활에는 비교적 관심이 적다. 그러므로 어린이 주일을 통해 교회 학교에 자녀를 둔 부모님을 초청하여 부모와 교사가 서로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져 교회 학교에 대한 부모님의 관심도를 높인다.
(5) 벽지(농, 어촌) 어린이 초청하기
어린이 주일에는 모든 곳의 어린이가 똑같은 어린이로서의 기쁨을 누릴 권리가 있다. 자칫 소외당하기 쉬운 농어촌 벽지의 어린이들을 초청해 도시의 어린이들과 함께 시간을 갖게 하는 것은 이런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때 초청된 어린이들의 숙식은 어린이가 있는 가정들이 분담하여 제공하면 경비도 절약되고, 자라난 환경이 다른 어린이들이 함께 어울리는 시간을 통해 서로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다.
(6) 풍선 날리기
이 행사는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북돋워주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한다.
방법은 먼저 어린이 수만큼의 도화지와 풍선을 준비한다. 도화지에는 자신의 꿈과 희망, 그리고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생활 등을 써넣게 하고, 풍선은 불어 실에 도화지를 매단다. 그리고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이 푸른 창공에 펼쳐질 수 있도록 어린이 놀이터나 빈터 등 안전하고 넓은 장소에서 풍선을 날린다. 한편 부모와 교사는 어린이가 도화지에 적어 넣은 사항들이 생활에서 실천될 수 있도록 늘 조언해 주며 평소 생활에도 관심을 갖도록 한다.
(출처: 인터넷-은영이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