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ㅕ름 성경학교에 관한 설문조사를 7~8월까지 실시했습니다.
50분이 참여했는데 결과를 보면
1. 교회사정으로 성경학교를 할 수 없다 10명(20%)
2. 캠프를 간다 19명(38%)
3. 여름 성경학교를 한다 18명 (36%)
로 나왔습니다.
분석 1)전체적으로 보면 각 교회가 성경학교 보다는 캠프를 선호하고 있으며 가능하면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캠프 중심의 성경학교를 준비하고 있는 추세가 강하게 보입니다. 이 것은 주일학교 뿐 아니라 전교회에서 각 기관별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뿐 만 아니라 단기 선교 형태를 취하는 교회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캠프를 하는 경우와는 별도로 해외로 나가(동남아,일본 등) 그들에게 비젼을 심어주려는 의도를 볼수 있고 또 그렇게 주일학교에서 추진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경제적인 풍요와 함께 어인이들에게 일찍부터 비젼을 심어주기 위한 교회의 노력이라고 볼 수 있어 바람직 하지만 한 편으로는 준비없이 물질로만 해결할려는 잘못된 계획으로 여행이나 무의미한 선교(?)의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분석2) 이런 풍요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교회의 사정으로 성경학교를 못하는 교회가 20% (50명중 10명)나 된다는 사실입니다. 한국교회의 자립도를 보면이것이 이 설문이 사실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00명이상의 교회는 10%정도이고 대부분이 100명 내외의교회이며 자립하기에 어려운 교회로 30~40%정도 된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여름 성경학교를 하고 싶지만 할 수 없는 교회가 생기는 것은 너무도 당연합니다. 물질적인 어려움과 교사인력이 없어 못하는 경우이겠죠. 교회에서 허락을않는 경우도 있을까요?
결과)비록 작은 숫자가 설문에 참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가관심을 갖게되는 것은 풍요속에 빈곤과 같은 극명한대립이 한국교회내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보게 합니다. 우리는 개척교회와 농어촌 교회의 어려운 상황을 간과하지말아야 합니다. 8~90년대에 농활이나 봉사활동과 같은 섬김을 통하여 도시교회가 이들 교회를 지원하여야 합니다. 이런 보살핌과 섬김이 주님이 몸되신 한 교회를 섬기는 방법일 것입니다.
아직도 한국 교회에 20%가 여러가지상황으로 가장 교육하기에 좋은 황금어장인 여름성경학교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함께 도우는아름다운 교회로 균형있는발전이있기를 바랍니다.
내년에는 농어촌 교회와 미자립교회의여름 성경학교를 지원할 수 있는창구를 개설하여 함께도울 수 있도록 기도하고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합니다.
교회학교 연구소.
50분이 참여했는데 결과를 보면
1. 교회사정으로 성경학교를 할 수 없다 10명(20%)
2. 캠프를 간다 19명(38%)
3. 여름 성경학교를 한다 18명 (36%)
로 나왔습니다.
분석 1)전체적으로 보면 각 교회가 성경학교 보다는 캠프를 선호하고 있으며 가능하면 집중적이고 효율적인 캠프 중심의 성경학교를 준비하고 있는 추세가 강하게 보입니다. 이 것은 주일학교 뿐 아니라 전교회에서 각 기관별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뿐 만 아니라 단기 선교 형태를 취하는 교회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캠프를 하는 경우와는 별도로 해외로 나가(동남아,일본 등) 그들에게 비젼을 심어주려는 의도를 볼수 있고 또 그렇게 주일학교에서 추진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경제적인 풍요와 함께 어인이들에게 일찍부터 비젼을 심어주기 위한 교회의 노력이라고 볼 수 있어 바람직 하지만 한 편으로는 준비없이 물질로만 해결할려는 잘못된 계획으로 여행이나 무의미한 선교(?)의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분석2) 이런 풍요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교회의 사정으로 성경학교를 못하는 교회가 20% (50명중 10명)나 된다는 사실입니다. 한국교회의 자립도를 보면이것이 이 설문이 사실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00명이상의 교회는 10%정도이고 대부분이 100명 내외의교회이며 자립하기에 어려운 교회로 30~40%정도 된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여름 성경학교를 하고 싶지만 할 수 없는 교회가 생기는 것은 너무도 당연합니다. 물질적인 어려움과 교사인력이 없어 못하는 경우이겠죠. 교회에서 허락을않는 경우도 있을까요?
결과)비록 작은 숫자가 설문에 참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가관심을 갖게되는 것은 풍요속에 빈곤과 같은 극명한대립이 한국교회내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보게 합니다. 우리는 개척교회와 농어촌 교회의 어려운 상황을 간과하지말아야 합니다. 8~90년대에 농활이나 봉사활동과 같은 섬김을 통하여 도시교회가 이들 교회를 지원하여야 합니다. 이런 보살핌과 섬김이 주님이 몸되신 한 교회를 섬기는 방법일 것입니다.
아직도 한국 교회에 20%가 여러가지상황으로 가장 교육하기에 좋은 황금어장인 여름성경학교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함께 도우는아름다운 교회로 균형있는발전이있기를 바랍니다.
내년에는 농어촌 교회와 미자립교회의여름 성경학교를 지원할 수 있는창구를 개설하여 함께도울 수 있도록 기도하고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감사합니다.
교회학교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