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당신은 예수님에 대하여 들어 보셨습니까?
= 따으 네악 틀로압 반 르/ 엄삐 쁘레아 예수 다에 르떼?
2.하나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 쁘레아 스롤란 네악
3.그러나 우리 모두가 하나님 앞에서 죄인들입니다.
= 본따에 니엉 찌어 네악/ 미언 밥/ 너의 쫌뿌어 쁘레아
4.죄의 삯은 죽음이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영생을 주십니다.
= 펄 너이 업뻐으 밥 끄찌어 쌔끄다이 슬랍/ 본따에 쁘레아 찌어 머짜 반/ 프덜 너의 찌웓 더 어깔 덜 영 /땀 로야 쁘레아 예수 끄리스
5.그리스도께서 귀하를 하나님께 데려다 주시기 위해 죽으셨습니다
= 쁘레아 끄리 쏙꾿 썸머랍 네악/ 능 노암 네악/ 떠으 덜 쁘레아 찌어 머짜
6.먼저 귀하의 죄를 회개하셔야 합니다.
= 찌어덤봉, 네아 구워따에/ 풀라쁘라엗쩓/ 삐 엄뻐으 밥 로버 네악
7.두번째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해야 합니다.
= 띠 삐/ 네악 꾸어따에/ 또뚜얼 쯔어/ 쁘레아 예수/ 찌어 쁘레아 엉/ 썽꾸루어 로버 네악
8.예수 그리스도만이 우리를 죄와 죽음에서 구원하실 수 있는 유일한 길입니다.
= 쁘레아 예수 끄리/ 찌어 플로으 따에 무어이 꾿/ 다엘 씽꾸루어 이영 아오이 루엊 삐/ 박 능 루엊 삐 쎄끄다이 슬랍
9.예수님을 믿으십시오
= 쏨 쯔어 쁘레아 예수
10.감사합니다
= 어꾼
11.내일 뵈요
= 주업 크니어 틍아이 싸이
--[틀라이 뽄만]
(사실 '픈'을 강하게 읽어서 '쁜'처럼 들린다.)
우리가 가게에 가서 물건을 살 때 우리는 "이거 얼마예요?" 라고 묻습니다. 그때 위와 같이 말합니다.
여기서 [틀라이] 는 '가격'혹은 '비쌈'의 의미입니다.
그리고 [뽄만]은 영어의 'how'에 해당합니다. '얼마나 비쌉니까' 즉 "얼마 입니까?"입니다.
★감사합니다
--[어꾼]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로 '감사합니다'
라고도 하지만 '너무(많이) 감사합 니다' 란 말을
많이 사용 하지요?
--많이, 영어의many혹 much는
크마에로 [쩌라언]입니다.
자 그럼 영어처럼 크메아도 만들어 볼까요
--thank you very much
thank you는 [어꾼]
very는 [쩌라언]
much는 [나ㅎ]입니다.
어꾼 쩌라언 나ㅎ
그래서 '대단히 감사합니다'는
-[아꾼 찌라언 나] 랍니다.
★죄송합니다
--[쏨-뚜 혹은 쏨또]
그런데 여기서 쏨은 please의 의미 즉 제발 의 의미가
있습 니다..따라서 쏨-뚜 하면 '죄송합니다'도 되지만
excuse me (실례합니다)도 된답니다.
1. '나' 는 [크뇸]혹 [크념]이라고 합니다
2. '너'는 일반적으로는 [네앜]
본 발음은 [네아] 처럼 들린답니다.
4. '우리'는 [여응]
5. '그'는 [꼬앗]
6. '그녀'는 [니응]
[니응]은 자기보다 어린 사람들에게 쓰는 표현이라고
합니다.
여성도 [꼬앗]이라 사용하기도 합니다.
7. '그들' 은 [뿌어 깨이]
그러나 [뿌어 꼬앗] 이라고 쓴다고 합니다.
다르게는 [깨이],[뿌깨이]라고 만 도 합니다.
♡쩜 리업 수어/ 썩 삽바이
발음 : 쩜므립 수어
<1>쩜리업: 쩜과 리업 사이에는 "M" 음(音)이 들리는 듯 합니다..그래서 들을 때는 [쩜므리업]
처럼 들립니다. 그러나 빨리 발음 하시면 "쩜므립"됩니다.
<2>수어: to question 의문문을 위한 단어입니다.
이 두 단어를 합치면
<3>쩜므립 수어:『안녕하세요』란 뜻입니다.영어의 hello! 와 같은 말입니다.
<4>록: 록은 남자에게 붙이는 당신의 존칭입니다..영어의 sir 와 같습니다...영어의 you와 sir가 다 당신이지만
sir는 존칭을 말하듯이 "록"은 존칭입니다.하지만 록보다는 [벙]이라는 표현이 더 좋을듯 합니다
<5>록-스러이: 록-스러이는 여성에게 붙이는 존칭입니다..영어의 madam과 같은 의미입니다.
이 두 단어를 문장에 넣고 말을해보면
<6>『쩜므립 수어 록』-남성에게 인사,『쩜므립 수어 록-스러이』-여성에게 인사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발음 : 썩-삽바이 찌어 때
<1>썩: to be happy -well [기쁘다는 말]
<2>삽바이: 이것도 똑같은 to be happy-pleasant입니다. [기쁘다는 말]
두 단어를 합쳐서 말하면...
<3>썩-삽바이: 이말은 영어로 말하면 to be well and happy입니다. [평안하십니까?]
<4>찌어: 이것도 to be well.
<5>때: 이것은 의문사로 문장의 마지막에 붙습니다. 우리나라 말의 까와 같은 것입니다.
자! 이제 다 합쳐서 말을 만들어 볼까요?
<6>썩-삽바이 찌어 때?: 잘 지내시죠? 라는 인사말이다.
★자!그럼 남자에게 이 말을 써 보자...남성에게 존칭으로 말한다면
----록 썩 삽바이 찌어 때?
★그럼 여성에게는?
----록-스러이 썩 삽바이 찌어 때?
★대답은 어떻게 할까요?
----크메아는 남성의 대답과 여성의 대답이 다릅니다.
바트-남성의 대답 yes /no는 [바(트)/때]('바'를 하실때 '빠' 라고 하지 마세요'바'입니다.)
짜아 or 짜-여성의 대답 yes /no는 [짜/때]
= 따으 네악 틀로압 반 르/ 엄삐 쁘레아 예수 다에 르떼?
2.하나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 쁘레아 스롤란 네악
3.그러나 우리 모두가 하나님 앞에서 죄인들입니다.
= 본따에 니엉 찌어 네악/ 미언 밥/ 너의 쫌뿌어 쁘레아
4.죄의 삯은 죽음이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에게 영생을 주십니다.
= 펄 너이 업뻐으 밥 끄찌어 쌔끄다이 슬랍/ 본따에 쁘레아 찌어 머짜 반/ 프덜 너의 찌웓 더 어깔 덜 영 /땀 로야 쁘레아 예수 끄리스
5.그리스도께서 귀하를 하나님께 데려다 주시기 위해 죽으셨습니다
= 쁘레아 끄리 쏙꾿 썸머랍 네악/ 능 노암 네악/ 떠으 덜 쁘레아 찌어 머짜
6.먼저 귀하의 죄를 회개하셔야 합니다.
= 찌어덤봉, 네아 구워따에/ 풀라쁘라엗쩓/ 삐 엄뻐으 밥 로버 네악
7.두번째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해야 합니다.
= 띠 삐/ 네악 꾸어따에/ 또뚜얼 쯔어/ 쁘레아 예수/ 찌어 쁘레아 엉/ 썽꾸루어 로버 네악
8.예수 그리스도만이 우리를 죄와 죽음에서 구원하실 수 있는 유일한 길입니다.
= 쁘레아 예수 끄리/ 찌어 플로으 따에 무어이 꾿/ 다엘 씽꾸루어 이영 아오이 루엊 삐/ 박 능 루엊 삐 쎄끄다이 슬랍
9.예수님을 믿으십시오
= 쏨 쯔어 쁘레아 예수
10.감사합니다
= 어꾼
11.내일 뵈요
= 주업 크니어 틍아이 싸이
--[틀라이 뽄만]
(사실 '픈'을 강하게 읽어서 '쁜'처럼 들린다.)
우리가 가게에 가서 물건을 살 때 우리는 "이거 얼마예요?" 라고 묻습니다. 그때 위와 같이 말합니다.
여기서 [틀라이] 는 '가격'혹은 '비쌈'의 의미입니다.
그리고 [뽄만]은 영어의 'how'에 해당합니다. '얼마나 비쌉니까' 즉 "얼마 입니까?"입니다.
★감사합니다
--[어꾼]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로 '감사합니다'
라고도 하지만 '너무(많이) 감사합 니다' 란 말을
많이 사용 하지요?
--많이, 영어의many혹 much는
크마에로 [쩌라언]입니다.
자 그럼 영어처럼 크메아도 만들어 볼까요
--thank you very much
thank you는 [어꾼]
very는 [쩌라언]
much는 [나ㅎ]입니다.
어꾼 쩌라언 나ㅎ
그래서 '대단히 감사합니다'는
-[아꾼 찌라언 나] 랍니다.
★죄송합니다
--[쏨-뚜 혹은 쏨또]
그런데 여기서 쏨은 please의 의미 즉 제발 의 의미가
있습 니다..따라서 쏨-뚜 하면 '죄송합니다'도 되지만
excuse me (실례합니다)도 된답니다.
1. '나' 는 [크뇸]혹 [크념]이라고 합니다
2. '너'는 일반적으로는 [네앜]
본 발음은 [네아] 처럼 들린답니다.
4. '우리'는 [여응]
5. '그'는 [꼬앗]
6. '그녀'는 [니응]
[니응]은 자기보다 어린 사람들에게 쓰는 표현이라고
합니다.
여성도 [꼬앗]이라 사용하기도 합니다.
7. '그들' 은 [뿌어 깨이]
그러나 [뿌어 꼬앗] 이라고 쓴다고 합니다.
다르게는 [깨이],[뿌깨이]라고 만 도 합니다.
♡쩜 리업 수어/ 썩 삽바이
발음 : 쩜므립 수어
<1>쩜리업: 쩜과 리업 사이에는 "M" 음(音)이 들리는 듯 합니다..그래서 들을 때는 [쩜므리업]
처럼 들립니다. 그러나 빨리 발음 하시면 "쩜므립"됩니다.
<2>수어: to question 의문문을 위한 단어입니다.
이 두 단어를 합치면
<3>쩜므립 수어:『안녕하세요』란 뜻입니다.영어의 hello! 와 같은 말입니다.
<4>록: 록은 남자에게 붙이는 당신의 존칭입니다..영어의 sir 와 같습니다...영어의 you와 sir가 다 당신이지만
sir는 존칭을 말하듯이 "록"은 존칭입니다.하지만 록보다는 [벙]이라는 표현이 더 좋을듯 합니다
<5>록-스러이: 록-스러이는 여성에게 붙이는 존칭입니다..영어의 madam과 같은 의미입니다.
이 두 단어를 문장에 넣고 말을해보면
<6>『쩜므립 수어 록』-남성에게 인사,『쩜므립 수어 록-스러이』-여성에게 인사 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발음 : 썩-삽바이 찌어 때
<1>썩: to be happy -well [기쁘다는 말]
<2>삽바이: 이것도 똑같은 to be happy-pleasant입니다. [기쁘다는 말]
두 단어를 합쳐서 말하면...
<3>썩-삽바이: 이말은 영어로 말하면 to be well and happy입니다. [평안하십니까?]
<4>찌어: 이것도 to be well.
<5>때: 이것은 의문사로 문장의 마지막에 붙습니다. 우리나라 말의 까와 같은 것입니다.
자! 이제 다 합쳐서 말을 만들어 볼까요?
<6>썩-삽바이 찌어 때?: 잘 지내시죠? 라는 인사말이다.
★자!그럼 남자에게 이 말을 써 보자...남성에게 존칭으로 말한다면
----록 썩 삽바이 찌어 때?
★그럼 여성에게는?
----록-스러이 썩 삽바이 찌어 때?
★대답은 어떻게 할까요?
----크메아는 남성의 대답과 여성의 대답이 다릅니다.
바트-남성의 대답 yes /no는 [바(트)/때]('바'를 하실때 '빠' 라고 하지 마세요'바'입니다.)
짜아 or 짜-여성의 대답 yes /no는 [짜/때]